장중 체결강도 100 이상? | 개미가 놓치기 쉬운 실시간 수급 지표 해석법

주식 시장을 실시간으로 지켜보면, 차트 옆에 ‘체결강도(成交强度)’라는 숫자를 자주 보게 됩니다.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이 수치를 단순히 “매수세가 강하면 좋은 것” 정도로 해석하지만, 체결강도는 그보다 훨씬 더 깊은 의미를 갖는 실시간 수급 지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체결강도의 개념부터 해석법, 실제 매매에 활용하는 전략까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① 체결강도란 무엇인가?

체결강도는 말 그대로 “얼마나 강한 매수세 또는 매도세가 존재하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즉, 매수 체결량과 매도 체결량의 비율을 수치로 표현한 것입니다.

🔹 계산식

체결강도(%) = (매수체결량 ÷ 매도체결량) × 100

예를 들어,

  • 매수 체결량이 매도 체결량과 동일하면 → 체결강도 = 100%
  • 매수 체결량이 더 많으면 → 체결강도 > 100
  • 매도 체결량이 더 많으면 → 체결강도 < 100

즉, 100을 기준선으로

  • 100 이상은 매수 우위,
  • 100 이하는 매도 우위를 의미합니다.

💡 ② 체결강도 100 이상의 의미

장중 체결강도가 100 이상이라는 것은, 실시간으로 시장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치만 보고 “매수세가 강하니까 주가가 오르겠네”라고 판단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체결강도는 주가의 방향보다 ‘심리와 속도’를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구간체결강도 수치해석
70 이하매도세 우위매도 압력 강함, 하락 추세 가능
80~120중립 구간매수·매도세 균형
120~180매수세 강함단기 상승 가능성 ↑
200 이상과열 구간단기 고점 신호 가능

💬 요점: 체결강도 100 이상은 긍정적이지만, 200 이상이면 단기 과열 가능성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③ 체결강도가 높아지는 이유

체결강도가 급등하는 경우는 대체로 다음 세 가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1️⃣ 기관·외국인의 대량 매수 진입
→ 프로그램 매수 또는 차익거래 유입 시, 순간적으로 체결강도가 폭등.

2️⃣ 뉴스·재료 기반 단기 수급 집중
→ 실적 발표, 정책 뉴스, 테마 이슈 발생 시 단기 매수세 급증.

3️⃣ 개인 매수 쏠림
→ SNS, 커뮤니티에서 이슈화된 종목에 개인 투자자 매수세가 몰릴 때.

하지만 개인 중심 매수는 지속성이 약해, 체결강도 급등 후 급락하는 패턴이 자주 나타납니다.


🔍 ④ 체결강도와 주가의 관계 — 실전 예시

구분체결강도 흐름주가 흐름해석
A종목120 → 180 지속+3% 상승꾸준한 매수세 유입
B종목250 이상 급등 후 급락+7% → -4% 반전단기 과열, 매도세 전환
C종목80 이하 유지-2% 하락매도세 지속

이처럼 체결강도는 단기 주가의 ‘온도계’로 볼 수 있습니다.
100 이상이면 상승 확률이 높지만, 200 이상 지속은 오히려 단기 차익실현 구간일 가능성이 큽니다.


⚖️ ⑤ 체결강도 활용 매매 전략

✅ (1) 단기 트레이딩 — “100 돌파 구간 공략”

  • 체결강도가 100을 상향 돌파하며 거래량이 동반될 때, 단기 상승 추세 진입 가능성.
  • 단, 거래대금(유입 자금) 증가가 함께 확인되어야 신뢰도 높음.

✅ (2) 추세 전환 포착 — “80 → 120 반등 구간”

  • 하락 종목이 체결강도 80에서 120으로 반등 시, 매도세 약화 + 신규 매수세 진입 신호.

✅ (3) 과열 구간 회피 — “200 이상 경계”

  • 체결강도 200 이상, 거래대금 급증 시 → 단기 피크 가능성.
  • 분할매도 또는 익절 타이밍으로 판단.

🧠 ⑥ 체결강도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

1️⃣ 거래량과 함께 봐야 한다
→ 거래량이 적으면 체결강도 수치가 왜곡될 수 있음.

2️⃣ 시간대별 흐름 확인
→ 장 초반(09:00~10:00)은 변동성 과대 구간으로, 중간값보다 추세를 보라.

3️⃣ 거래대금과 연동해 해석
→ 금액 기준의 유입이 없는 단순 ‘개인 매수’는 단기 반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음.


📈 결론 — 체결강도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체결강도는 실시간으로 투자자들의 심리, 속도, 자금 방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수급 지표입니다.
다만, 단독으로 해석하기보다는 거래량·거래대금과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

💡 핵심 요약:
✅ 체결강도 100 이상 = 매수세 우위
✅ 120~180 = 상승 모멘텀 구간
✅ 200 이상 = 단기 과열 신호
✅ 거래대금·시간대·추세와 함께 종합 해석

주가는 결국 수급으로 움직입니다.
‘체결강도’라는 수급의 언어를 읽을 줄 안다면, 시장의 방향을 한 발 앞서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